검사결과
자기확신/주장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8점 이상일 때 ‘자기확신/주장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비판/통제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. ※
6점 이상일 때 ‘비판/통제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냉담/의심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6점 이상일 때 ‘냉담/의심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회피/고립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6점 이상일 때 ‘회피/고립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비주장/소심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6점 이상일 때 ‘비주장/소심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순응/양보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7점 이상일 때 ‘순응/양보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온화/친절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7점 이상일 때 ‘온화/친절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사교성/쾌활 |
자가검진 결과점수는 점 입니다. ※
8점 이상일 때 ‘사교성/쾌활’ 특성이 뚜렷한 편입니다.
|
※ 자가진단은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므로 정신과적 진단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.
자세한 사항은 심리상담센터에 방문해서 상의하시기 바랍니다.
자기확신/주장 PA(Assured-Dominant) :
|
- 적극적으로 일을 떠맡거나 책임을 지려고 한다.
- 결정을 내리는데 관여하고 논쟁에서 이기려는 편이다.
- 성취, 자신감, 자존감, 집요함, 활력, 계획능력 등과 관련이 있다.
- 주장을 잘 하는, 자신감 있는(self-confident) 사람으로 스스로 생각한다.
- 다른 사람에게 권력, 힘을 행사하는 경향이 있다.
- 경쟁 상황에서 항상 자기 자신의 이득을 최대화하려는 동기를 가질 수 있다.
- 문제가 발생하면 지배적이고, 다른 사람을 통제하고, 조종하며, 공격적일 수 있다.
- 과장된 허세(실제 행동, 말, 상상), 인정 강요, 공감 부족이 대인관계에서 문제로 드러날 수 있다.
|
비판/통제 BC(Arrogant-Calculating) : |
- 누군가 자신을 화나게 하거나 성가시게 하면 그 사람에게 표시를 내는 편이다.
-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불만, 짜증, 부당함, 공평하지 않음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.
- 냉소적이며, 이기심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대인관계에서 이상적인 기대가 아닌 현실적?낮은 기대를 한다.
- 양보하거나 희생적인 사람의 우유부단함과 유약함을 비판할 수 있다.
-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오만하고, 약삭빠른, 이기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다.
-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과 의심, 타인의 욕구와 행복에 대한 무관심이 대인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.
|
냉담/의심 DE(Cold-hearted) : |
-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율성을 중요시한다. 자유와 사회적 관습에서 자유스러운 것을 강조한다.
- 전형적인 문항은 “나는 가족, 친구와 얽매이는 것보다 혼자 외로운 늑대로 사는 것이 좋다”이다.
-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자기 자신은 온화하거나 친절하지 않고 동정적이지도 않으며 타인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한다.
- 부적절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비협조적?비동조적이며 타인에게 배려적이지 않은 편이다.
- 다른 사람에게 애정, 친밀감을 표현하기 어렵고, 다른 사람과 장기적인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이 있다.
- 대인관계에서 사람들과 사이좋게 지내거나 관대하거나 용서하는 부분이 필요하다.
|
회피/고립 FG(Aloof-Introverted) : |
- 사회적 상호작용을 피하고 다른 사람의 접근을 거절하는 경향이 있다.
- 전형적인 문항은 “나는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낸다.”이다.
- 대인관계에서 분리되어 있고, 거리를 두며, 대인관계 장면에서 정서표현 범위가 위축되어 있다.
- 사회적 불안, 사회적 불편감, 고독감 등과 상관이 있다.
-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내향적이고, 비사교적이라고 한다.
- 대인관계를 제한하고, 초대를 거부하며, 다른 사람과 시간을 같이 보내지 않으려는 방식을 선택하는 편이다.
|
비주장/소심 HI(Unassured-Submissive) : |
- 순하고, 수줍어하며, 부끄러움이 많은 편일 수 있다.
- 전형적인 문항은 “나는 나서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. 다른 사람에게 힘을 행사하는 위치를 피한다.”이다.
- 다른 사람으로부터 관심의 초점이 되는 장면(발표 등), 사회적 도전을 원하지 않는 편이다.
-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이 소심하고, 수동적이고,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한다.
- 권위적 역할(리더)에 대해 불편감을 느끼고, 확고하게 주장적인 행동을 하지 못할 수 있다.
- 부적절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과민성과 평가 두려움, 자기 비하, 사회적 억제가 문제가 될 수 있다.
|
순응/양보 JK(Unassuming-Ingenuous): |
- 공손하고, 친절하고, 겸손한 경향이 있다.
- 다른 사람을 통해서 자신에 대한 사랑과 지위를 확인하는 경향이 있다.
- 예의 바르며, 심지어 뭔가 잘못 되어도 온화한 표정을 짓고, 논쟁을 피하고, 자신의 실수를 기꺼이 받아들이고,
상급자나 상사 앞에서는 소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.
- 전형적인 문항은 “다른 사람들은 나를 이용하지만 나는 항상 그것을 정중하게 받아들인다.”이다.
-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친절하고, 평범한 일반적인 사람이며, 논쟁적이거나, 남을 속이거나 이기적이지 않다고 한다.
- 다른 사람에게 착취당하고 잘 속고 이용당하기 쉽다.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분노를 거의 표현하지 않는다.
- 심할 경우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돌보고, 배려하고, 순종적이고, 매달리고, 분리에 대한 두려움을 과도하게 경험하는 의존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.
|
온화/친절 LM(Warm-Agreeable): |
- 따뜻하고, 다정하며, 공감적인 성향이 있다.
- 누군가가 어려움에 처해있거나 도움이 필요하고 아프거나 다른 형태의 지지와 보호가 필요할 때 물질적 또는 정서적 도움을 제공하는 편이다.
- 전형적인 문항은 “나는 사람을 도울 수 있는 곳에서 직장을 구하고 싶다.”이다.
혹은 “나는 사람들과 화목하게 잘 지낼 수 있는 환경에서 지내고 싶다.”이다.
-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동정적이고, 용서를 잘 하고, 친절하고, 상냥하다.
- 지나치게 다른 사람을 돌보려고 하고,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데 너무 노력하고, 너무 관대하고, 신뢰적이고,
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지나치게 허용적이라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|
사교성/쾌활 NO(Gregarious-Extraverted): |
- 사회적 관계에서 쾌활하고, 외향적이고, 명랑한, 사교적, 낙천적인 경향이 있다.
- 다른 사람을 많이 만나고 사귈 수 있는 활동, 취미, 파티, 사회적 모임을 좋아하는 편이다.
- 전형적인 문항은 “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가면 새로운 친구를 빨리 찾는다.”이다.
- 너무 지나치면 간섭하게 되고(과관여), 부적절하게 자기 자신을 노출 하게 되고, 혼자서 지내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.
|

형용사척도 |
대인관계 문제척도(IIP)
문항 |
PA
(자기확신/주장)
|
다른 사람의 일을 간섭하지 않고 내버려두기가
어렵다 (.29)
다른 사람을 내 마음대로 지나치게 통제하려고 한다 (.24)
다른 사람들과 지나치게 논쟁을 벌인다 (.24)
|
BC
(비판/통제) |
다른 사람에게 너무 공격적이다
(.43)
사람들에게 앙갚음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가 많다 (.38)
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지나치게 조종한다 (.37)
|
DE
(냉담/의심) |
다른 사람들을 신뢰하는 것이 어렵다
(.47)
다른 사람들에게 너무 공격적이다 (.46)
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비판한다 (.39)
|
FG
(회피/고립) |
다른 사람들과 교제하기가 어렵다
(.66)
여러 사람이 모인 집단에 같이 어울리기가 어렵다 (.61)
친구를 사귀기가 어렵다 (.56)
|
HI
(비주장/소심) |
다른 사람 앞에서 내 주장을 하기가 어렵다
(.48)
확고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한 때에도 그렇게 하기가 어렵다 (.47)
문제가 생길 때 그것을 사람들에게 따지기가 어렵다 (.46)
|
JK
(순응/양보) |
다른 사람에게 너무 관대하다
(.46)
싸울만한 상황임에도 다른 사람과 싸우기가 어렵다 (.37)
다른 사람에게 '아니오'라고 말하는 것이 어렵다 (.33)
|
LM
(온화/친절) |
다른 사람에게 너무 관대하다
(.43)
다른 사람의 일을 간섭하지 않고 내버려두기가 어렵다 (.26)
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믿는다 (.25)
|
NO
(사교성/쾌활) |
다른 사람을 웃기기 위한 행동을 너무 많이
한다 (.34)
사람들에게 나 자신을 너무 많이 공개한다 (.32)
다른 사람의 일을 간섭하지 않고 내버려두기가 어렵다 (.30)
|
n=262. 괄호 안은 상관계수임. 모든 상관계수가 유의함. p<.001.
|